문제 링크
https://school.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84512
프로그래머스
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.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.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,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.
programmers.co.kr
문제 접근 방식
순열을 사용해서 모든 경우를 나열한 다음에 정렬 함수를 사용해서 사전을 만들 수도 있고,
재귀함수를 사용해서 정렬 없이 바로 사전을 만들 수 있을 것 같다.
모든 경우의 수가 m 일때, 전자의 방식은 정렬을 해줘야하므로 O(mlogm) 시간이 걸리는 반면,
재귀를 통해 바로 구하는 경우에는 O(m) 의 시간이 걸린다.
후자의 방식이 코드를 작성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것 같지 않아서 재귀함수를 사용해서 문제풀이를 진행했다.
처리 방법
재귀 함수에서는 현재 단어를 사전에 먼저 넣어주고, 해당 단어에 다른 모음을 추가해서 재귀함수를 수행하도록 구현했다.
재귀함수
1. 현재 단어의 길이가 6 이상이면 함수를 종료한다(탈출 조건)
2. 현재 단어를 사전에 넣는다.
3. 모음을 순회한다
3.1. 현재 단어에 모음을 추가해서 단어를 생성한다.
코드
vowels=['A','E','I','O','U']
def make_dictionary(word,dictionary):
if len(word)>=6:
return
dictionary.append(word)
for i in range(5):
make_dictionary(word+vowels[i],dictionary)
def solution(word):
dictionary=[]
for i in range(5):
make_dictionary(vowels[i], dictionary)
return dictionary.index(word)+1
회고
재귀 함수 두번째 문제
'문제풀이 > 프로그래머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프로그래머스 | 게임 맵 최단거리 문제풀이 (1) | 2024.01.02 |
---|---|
프로그래머스 | 타겟넘버 문제풀이 (0) | 2024.01.02 |
프로그래머스 | 전력망을 둘로 나누기 (0) | 2023.12.31 |
프로그래머스 | 피로도 문제풀이 (0) | 2023.12.30 |
프로그래머스 | 카펫 문제 풀이 (0) | 2023.12.29 |